본문 바로가기
inspirational

brewing effect (휴식 심리)

by seoe_md 2022. 9. 27.
반응형

 

brewing effect 정의

: 복잡한 문제를 깊게 생각하다가도

휴식할 때는 갑자기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

우리는 살면서 가끔 아무리 생각해도 도저히 답이 없는 문제를 맞닥뜨릴 때가 있다. 
하지만  문제에 대해 열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멈추고 휴식을 가질 때, 신박한 영감이 떠오를 수 있는데,

이것을 브루잉 효과라고 한다. 

brewing effect 사고작용


심리학자들은 브루잉 과정의 핵심은, 사고 자체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전반적인 사고 과정을 잠재의식 영역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상태를 만드는 것은 중간 휴식이다. 
책상 앞에서 머리를 쥐어짤 때보다 잠시 산책하다가 불현듯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 순간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어려운 문제를 내려놓으면 우리의 뇌는 이전에 느낀 심리적 긴장감을 없애고 부정확한 부분을 잊어버리며 사고가 일시 정지된다. 잠재의식 면에서 독창적인 사고 과정을 형성하는 데 유리해지는 것이다.


이탈리아의 미학자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는 인간의 지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한 가지가 직감이고, 다른 하나가 논리적 사고라고 말했다. 

그는 직감은 '상상 중에 나오는 것'이고, 논리적 사고는 '이성적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리적 사고가 막다른 골목에 들어설 때, 이완과 휴식의 '브루잉' 과정을 통해 생각을 직감에 맡기고 뇌에 숨겨진 신속하고 직접적인 통찰과 깨달음을 통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brewing effect 연구,실험

1971년 미국의 심리학자 실비에르는 하나의 실험을 설계했다. 이 실험은 브루잉 효과를 전문적으로 보여준다. 실비 에르는 먼저 성별, 나이, 지식수준 등이 대체로 비슷한 피실험자끼리 세 그룹을 만든 후 그들에게 똑같은 난제 하나를 생각하도록 요구했다. 

실험 요구에 근거하여 첫 번째 그룹은 30분 동안 생각하고 중간에 휴식을 취하지 않았다. 두 번째 그룹은 먼저 10분 동안 생각한 후 문제 해결 여부와 상관없이 30분 동안 휴식을 취하고 다시 10분 동안 생각했다. 세 번째 그룹은 두 번째 그룹과 비슷하게 전후로 10분간 생각하고 중간에 4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며 공놀이, 카드놀이 같은 오락 활동을 즐겼다.

실험 결과 첫 번째 그룹은 55%, 두 번째 그룹은 64%, 세 번째 그룹은 85%가 문제를 해결했다. 

실험이 끝난 후 실비에르는 모든 피실험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차례차례 기록했고, 두세 번째 그룹의 피실험자들이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문제를 해결할 때 이전에 가지고 있던 생각들을 이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 실험을 통해 실비에르는 브루잉 효과가 문제 해결의 부적절한 사고방식을 깨뜨리고 새로운 방식을 촉진했다고 확신했다. 


어려운 문제는 잠시 놔두고 중간에 다른 일을 끼워 넣는 방법은 사람들이 고정된 사고 패턴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새로운 절차와 방법을 얻을 수 있게 해 주며,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brewing effect 적용


생활 속에서 우리는 비슷한 경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많은 관념이 도출되었다. 

 

예를 들어 '일과 휴식의 결합' 같은 사업 이념이나 시간을 나누는 것을 기반으로 각종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모두 브루잉 효과에서 파생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끝까지 매달리거나 또는 자기 능력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정체된 사고방식에서 스스로 헤어 나오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문제를 한쪽에 놔두고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좋다. ​​

잠시 문제를 내려놓음으로써 정체된 사고방식을 없애고 몇 시간, 며칠, 심지어 정말 많은 시간이 지난 후 그 문제를 다시 생각하면 우리의 뇌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활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다. 사람의 뇌에는 신속하고 직접적인 통찰력과 깨달음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능력을 '영감' 또는 '직감'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문제에 대한 사고를 멈출 때, 뇌 속에 수집되어 있던 자료 역시 저장되지 않고 의식의 깊은 곳에서 원래 자료를 재편성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 낸다. 

 

심리학에서 휴식은 살아있는 존재의 공포, 불안 등의 원천에서 올 수 있는 각성이 없는, 낮은 긴장의 정서상태이다. 몸과 마음이 긴장과 불안이 없는 경우이다. 뒤로 피질이 약한 진정제를 통해 전두엽 피질에 신호를 전송하는 뇌의 전두엽에서 오는 가벼운 황홀감의 한 형태이다. 휴식은 명상, 자율훈련, 점진적 근육이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휴식은 압박에 대처하는 것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

'inspiratio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심리학 (마약,행동,물질)  (0) 2022.10.03
사랑의 심리학  (0) 2022.10.01
행동심리학  (0) 2022.09.27
비정상적인 심리학, 일반적 심리장애  (0) 2022.09.27
색상심리학  (0) 2022.09.27

댓글